반응형 IT/System Engineering67 SSL 인증서 만료일자 확인 방법 openssl x509 -in 인증서파일경로 -noout -dates echo | openssl s_client -servername localhost -connect localhost:443 2>/dev/null | openssl x509 -noout -dates 2022. 4. 27. [Linux] telnet 말고 포트 체크하는 방법들 흔히 서버간 통신을 위해서는 telnet을 쓰고 있는데, 보안에 대한 이슈로 telnet을 못쓰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때 확인하는 방법!! 1. nc 사용 nc -zv [ip] [port] 2. bash 사용 echo > /dev/tcp/[IP]/[PORT] 정상적인 통신일 경우 아무런 응답이 없습니다. 3. curl 사용 curl -v [IP]:[PORT] *그렇지만 역시 telnet이 젤 편하네요. 2021. 11. 15. [CentOS7] blockdev config 설정 CentOS 5에서 사용중이던 몽고DB 2.4 버전을 CentOS 7로 마이그레이션 하던 차에, blockdev의 ReadAheadSize 이슈로 문제가 발생되어서 부팅 시에 변경하고자 했다. MongoDB shell version: 2.4.0 connecting to: abc.com/test Server has startup warnings: Wed Mar 20 22:40:49.850 [initandlisten] Wed Mar 20 22:40:49.850 [initandlisten] ** WARNING: Readahead for /data/db is set to 2048KB Wed Mar 20 22:40:49.850 [initandlisten] ** We suggest setting it to 256K.. 2021. 4. 14. [CVE-2021-3156] sudo 취약점 패치 RHEL의 sudo 권한 관련 취약점 (CVE-2021-3156)이 발견되었다. 취약점 패치는 yum update sudo 를 통해 버전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1. sudo 버전 확인 (centos 버전 별 차이 있음) $ sudo -V Sudoers I/O plugin version 1.8.25p1 #업데이트 전 Sudoers I/O plugin version 1.8.29 #업데이트 후 2. 취약점 영향도 확인 $ sudoedit -s / sudoedit: /? not a regular file # 에러 발생 (업데이트 전) usage: sudoedit [-AknS] ...... # 결과 출력 (업데이트 후) 취약점 패치 전 취약점 패치 후 2021. 2. 18. [PowerShell] 도메인 확인하기 (whois) 파워쉘로 도메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필에 해당 함수를 등록하자. 프로필 확인 방법은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IT/System Engineering] - 파워쉘 프로필 확인 및 설정 [PowerShell] 프로필 확인 및 설정 윈도우10 이후 파워쉘의 사용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리눅스의 쉘 처럼 사용하고자 profile 설정이 필요할 때 다음을 참고하자. 1. 프로필 파일 경로 확인 $profile 2. 프로필 파일 생성 확인 test-path $pr newstars.tistory.com function Get-WhoIs { [CmdletBinding()] param( # The query to send to WHOIS servers [Parameter(Position=0, ValueF.. 2020. 12. 29. [PowerShell] 프로필 확인 및 설정 윈도우10 이후 파워쉘의 사용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리눅스의 쉘 처럼 사용하고자 profile 설정이 필요할 때 다음을 참고하자. 1. 프로필 파일 경로 확인 $profile 2. 프로필 파일 생성 확인 test-path $profile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 3. 프로필 파일 생성 new-item -path $profile -itemtype file -force 생성하고 test-path를 실행해보자. 4. 프로필 파일 수정하기 notepad $profile 메모장(notepad)로 열기 5. alias 설정 Set-alias [단축어] [실행파일] Set-alias np notepad.exe 2020. 8. 13. 리눅스의 필수!! ps 명령어 총정리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ps 명령어를 다룹니다. ps(process status)의 줄인말로 ps 명령어는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목록과 상태를 보여줍니다. - 윈도우의 작업관리자 같은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OS 계열에 따라 명령어 사용법이 다른데, BSD 계열 옵션은 '-'(DASH) 없이 사용합니다. ps 사용법 $ ps [option] System V : $ ps -ef BSD : $ ps aux 주요 옵션 옵션 내용 -e every(모든) 프로세스 -f full (완전한) 포맷 -l long(긴) 포맷 사용 방법 예시 $ ps -ef : 모든 프로세스를 풀 포맷으로 출력 $ ps -ef | grep '프로세스명' : '프로세스명'의 프로세스 구동 확인 출력 내용 행 제목 내용 UI.. 2020. 8. 1. Windows IIS TLS 1.0 TLS 1.1 비활성화 IIS TLS 1.0 및 1.1 비활성화 방법 1.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curityProviders\SCHANNEL\Protocols 경로 이동 2. TLS 1.0, TLS 1.1 이름으로 새로운 키 생성 3. TLS 1.0, TLS 1.1 키 안에 Client 와 Server 이름으로 새로운 키 생성 4. Client, Server 키 안에 DisabledByDefault, Enabled 이름으로 DWORD(32비트) 값을 추가 5. DisabledByDefault 값은 0, 단위는 16 진수로 설정 6. Enabled 값은 0, 단위는 16 진수로 설정 7. 변경된 레지스트리 값 적용을 위해 서버 재부팅 진행 2020. 7. 21. 리눅스 명령어 별칭 등록 - alias 리눅스 cli를 사용하다 보면 긴 명령어를 사용하기 귀찮을 때가 아주 자주 있다. 흔히 사용하는 명령어지만, 반복해서 사용하다 보면 손이 익어서 빠르게 치게 되는 경우가 있으나 오타가 자주나기 때문에 축약어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리눅스에서 제공한다. 바로 alias 이다. 1. 등록된 alias 확인하기 $alias 2. alias 추가하기 $alias [축약어]=['명령어 전체'] 3. alias 삭제하기 $unalias [축약어] 실제로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ssh 등이나 다른 것들도 등록하여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니까 익혀두면 좋을듯 하다. 2020. 7. 2. 이전 1 2 3 4 ··· 8 다음 반응형